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python] 간단한 getter와 setter를 구현할 때는 property, 복잡해질 경우 descriptor를 사용하자



http://meonggae.blogspot.kr/2016/11/python-getter-setter-property-setter.html

필자가 전에 한번 getter와 setter에 관련되서 글을 쓴 적이 있다.
이때 getter와 setter함수를 구현하지 말고 @property를 이용해서 구현을 하라고 했다

하지만 코드를 작성하다보면 @property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발생을 할 것이다. 이럴떄는 descriptor를 사용을 하여 코드를 좀더 깔끔하게 할 수 있다.
class test:
    @property
    def t(self):
        return self._t
    @t.setter
    def t(self, value):
        print('setter 작동')
        self._t = 10
        
a = test()
a.t = 10
property를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
property를 이용하영 외부에서 _t를 접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python3 app.py
setter 작동
외부에서 t를 접근 할 때 정상적으로 t()가 실행 됬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는 외부 뿐 아니라 내부에서 접근을 할 때에도 실행이 됩니다.
class test:
 
    def __init__(self):
        self.t = 1
 
    @property
    def t(self):
        return self._t
    @t.setter
    def t(self, value):
        print('setter 작동')
        self._t = 10
a = test()
a.t = 10

해당 코드를 실행을 시켜봅시다.
$ python3 app.py
setter작동
setter작동
t()가 두번 실행됬습니다.

test()에서 __init__이 호출이 되면서 내부적으로 self._t = 1에서 호출이 되고
외부에서 a = 10에서 한번 호출이 됩니다.

그런데 만약 property설정이 많아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class test:
 
    def __init__(self):
        self.t = 1
 
    @property
    def t(self):
        return self._t
    @t.setter
    def t(self, value):
        print('setter 작동')
        self._t = 10
        
    @property
    def a(self):
        return self._a
    @a.setter
    def a(self, value):
        print('setter 작동')
        self._a = 10
        
    @property
    def b(self):
        return self._b
    @b.setter
    def b(self, value):
        print('setter 작동')
        self._b = 10
a = test()
a.t = 10

속성마다 직접 구현을 해주어야 합니다. 근데 만약 내부적으로 코드가 같다면 상당히 비효율적으로 작성이 될 것입니다.

이럴때는 descriptor를 이용하면 매우 효율적인 코드작성이 가능합니다.
__set__, __get__를 이용 할 것입니다.
class t(object):
    def __get__(*args, **kwargs):
        print('get')
 
    def __set__(*args, **kwargs):
        print(**kwargs)
        print('set')
 
 
class test():
 
    a = t()
    b = t()
 
a = test()
a.a = 10
a.b = 20
위에서 property로 나열 했던 코드를 descriptor를 이용하여 심플하게 바꾸어 보았습니다.
object의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해당 클래스를 object처럼 사용이 가능 해졌습니다.

위처럼 t클래스는 object로 부터 상속을 받아 object의 메소드들을 오버라이딩 하여 재 정의가 가능해지면서 모든것을 그대로 사용 할 수 있게 됩니다.

$ python3 app.py
set
set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node.js] 파일 리더기 만들기 - 사용 모듈 정리, pdf 구조, hwp 구조

pdf -> html 변환 가장 무난하다. 기본적으로 pdf는 htm와 비슷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크게 header , body , xref table , trailer 의 구조로 되어있다. pdf는 환경에 상관없이 표현을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파일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무난히 진행이 된 것 같다. pdf2htmlex와 pdftohtmljs라는 모듈을 이용을 했다. var pdftohtml = require ( 'pdftohtmljs' ) ; var converter = new pdftohtml ( 'test.pdf' , "sample.html" ) ; converter . convert ( 'ipad' ) . then ( function ( ) { console . log ( "Success" ) ; } ) . catch ( function ( err ) { console . error ( "Conversion error: " + err ) ; } ) ; 이미지나, text같은 것들이 거의 100%로 변환이 된다. docx -> html 변환 docx파일을 html파일로 변환을 할 때는 style 적용과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다. 텍스트들을 전부 잘 읽기는 하는데 스타일 정보를 제대로 가져오지 못하기 때문에 좀 애매하다 - Headings. - Lists. - Customisable mapping from your own docx styles to HTML. For instance, you could convert WarningHeading to h1.warning by providing an appropriate style ...

[css] css로 프린트 방지하기

웹에서 프린트 제어가 불가능 한 줄 알았는데 프린트 클릭 시  스크립트로 해당 이벤트를 받아올 수 있다. 하지만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브라우저마다 작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좀 더 찾아보니 css로 인쇄되는 영역을 제어를 해줄 수 있다.  @media print 를 이용하면 된다. < html > < head > < title > print test page < / title > < style > @media print { . np { display : none ; } } < / style > < / head > < body > < div class = "np" > test < / div > < div > test1 < / div > < div > test1 < / div > < div > test1 < / div > < / body > < / html > 위 코드를 보면 np 클래스를 @media print에 넣어주었다. @media print는 인쇄됐을 때의 스타일을 지정을 해주는 것이다.  위에서는 해당 페이지를 인쇄할 때 p를 display : none으로 가려주었다. @media print를 이용하면 좀 더 멋진 인쇄물을 만들 수 ...

[알고리즘] snake게임 알고리즘

막무가네로 알고리즘을 공부하면 재미가 없으니 게임을 접목하여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게임의 대상은 스네이크 게임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어릴 때 뱀게임을 많이 해봤을 것 입니다. 이번에 다뤄볼 주제는 뱀이 움직임을 어떻게 구현을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뱀은 크게 3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1. 가장 중요한 뱀을 움직이기 2. 음식먹기 이때 뱀은 크기가 늘어나야 합니다. 3. 뱀이 움직이는 정책   - 뱀이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는 : 우측방향에서 좌측 방향으로 OR 위에 아래 방향고 같이 180도 반전되는 움직임은 막겠습니다. 순수한 알고리즘을 만드는 과정이기 때문에 음식을 먹었는지 안먹었는지 판단하는 부분은 랜덤으로 판단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def is_eat(): return random.choice([1, 0]) 랜덤으로 1, 0을 반환을 해줍니다. 실제로 게임을 만든다면 해당 함수는 뱀의 머리가 음식의 좌표와 같은지 검사를 해주면 되겠습니다. key_position_map = { 'w': [-1, 0], # up 's': [1, 0], # down 'a': [0, -1], # left 'd': [0, 1] # right } direction = key_position_map.get('d') 다음으로는 키맵핑을 한 오브젝트 입니다. direction은 현재 뱀의 방향을 나타냅니다. snake_body = [[2, 3], [1, 3],[1, 2], [1, 1]] 주인공이 되는 뱀의 좌표들 입니다. while True: key = input() new_direction = key_position_map.get(key) if new_direction and direction_check(direction, new_direction): direc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