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log를 통해서 커밋 이력과 해당 커밋에서 어떤 작업이 있었는지에 대해 조회를 할 수 있다.
우선 git에서의 주요 명령어부터 알아보겠다.
$ git push [branch name]
$ git pull [branch name]
여기서 branch name은 로컬일 경우 해당 브런치 이름만 적으면 되지만 깃허브 원격 저장소로 연결을 원할 경우는 해당 브런치 이름 앞에 꼭 origin을 붙이도록 한다.
$ git brnch [branch name]
$ git checkout [branch name]
branch일경우 해당 브런치를 생성을 한다.
여기서 현재의 브런치를 기준으로 브런치를 따는것이다.
checkout은 브런치를 바꾸는 것이다.(HEAD~[숫자]를 이용하면 해당 커밋으로 움직일수 있다.. 아니면 해당 커밋 번호를 통해 직접 옮기는것도 가능하다.) -> 해당 커밋으로 옮기는 것일뿐 실질적으로 바뀌는 것은 없다. 해당 커밋으로 완전히 되돌리려면 reset이라는 명령어를 써야한다.
처음 checkout을 쓰면 매우 신기하게 느껴진다. 막 폴더가 생겼다가 지워졌다가 ㅋㅋㅋㅋㅋ
master 브런치에서는 ht.html파일이 존재하지만 a브런치에서는 존재하지않는다. checkout 으로 변경을 하면 D 로 명시를 해준다.
$ git log
해당 브런치의 커밋 내역을 보여준다.
a 브런치의 커밋 내역들이다.
(머지 테스트를 하느라 커밋 내용이 거의 비슷하다 ㅋㅋ)
master 브런치의 커밋 내역들이다.
커밋 번호, 사용자, 날짜, 내용순으로 등장을 한다. 이건 단순히 지금까지의 내역을 훑어보기 좋다.
좀더 세밀한 내용을 봐보자.
$ git log --stat
--stat을 붙이면 기존의 로그에서 간략하게 어떤 파일에서 수정이 일어났는지 추가적으로 보여준다.
$ git log --pretty=oneline
커밋 번호와 커밋 내용을 한줄 단위로 출력을 한다.
$ git log -p -[숫자]
적은 숫자만큼 해당 내역을 좀더 상세히 보여준다.
diff결과도 보여준다.
$ git log --pretty=format:"%h,%ar,%an : %s"
커밋 정보를 format에 맞게 보여준다.
Option | Description of Output |
---|---|
%H | Commit hash |
%h | Abbreviated commit hash |
%T | Tree hash |
%t | Abbreviated tree hash |
%P | Parent hashes |
%p | Abbreviated parent hashes |
%an | Author name |
%ae | Author e-mail |
%ad | Author date (format respects the --date= option) |
%ar | Author date, relative |
%cn | Committer name |
%ce | Committer email |
%cd | Committer date |
%cr | Committer date, relative |
%s | Subject |
$ git log --pretty=format:"%h,%ar,%an : %s" --graph
--graph를 추가하면 콘솔창에서 gui로 보여주기 위해 노력을 했음이 느껴진다(존경.. ㅋㅋ)
전에 깃으로 이것저것 테스트 해보나고 장난질좀 했더니 저모양 저꼴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
댓글
댓글 쓰기